본문 바로가기

교육학/교육연구

[교육연구]양적연구 vs. 질적연구 비교 - 개념, 전제, 연구 유형, 특징

[1] 교육연구의 기초
- 교육문제의 해결과정이다. 
 
 
[2] 양적 연구 vs. 질적 연구 - 비교 표
 
양적연구
질적연구
개념
자연과학이나 사회과학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연구
인문과학적인 패러다임에 기초한 연구
기본 전제
인간현상도 관찰가능하다.
객관적인 법칙의 지배를 받는다.
객관적인 자료에 의해 수량화될 수 없으며,
이를 지배하는 보편적인 법칙도 없다.
학문적 토대
분석철학, 실증주의
현상학, 해석학,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에 토대
연구 유형
  1. 실험연구
  2. 준실험연구
  3. 사후연구
  4. 상관연구
  5. 발달연구
  6. 기술연구
  7. 조사연구
  1. 문화기술지적 연구
  2. 현장연구
  3. 삼사례연구
  4. 전기적 연구
  5. 현상학적 연구
  6. 근거이론
  7. 기술연구
  8. 역사적 연구
특징
객관적 실재를 가정
기계적 인과론 중시, 객관적
거시적 접근
연역적 추리 중시
표본연구
결과중시
주관적 실재를 가정
인간의 주관적 의도 중시, 해석적
미시적 접근
귀납적 추리 중시
단일사례 연구
과정중시

 

※ 임용 관련 글은 여기저기 정신없이 자료 찾고 공부하며 정리한 글을 공유합니다. 문제될 시 글 내리겠습니다.